경주 식량작물 특구, ‘들녘한끼 1호 식당’ 대박 예감 > 경제·부동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부동산

광고상담문의

(054)256-0045

평일 AM 09:00~PM 20:00

토요일 AM 09:00~PM 18:00

경제·부동산
Home > 경제·부동산 > 경제·부동산

경주 식량작물 특구, ‘들녘한끼 1호 식당’ 대박 예감

가공․요리․체험까지 원스톱 서비스 제공 6차산업 신모델로 성장

페이지 정보

전재영 기자 작성일25-08-21 16:25 (수정:25-08-21 16:25) 조회수82회

본문



경상북도 농업대전환핵심 사업인 들녘특구가 주주형 이모작 공동영농을 통한 규모화·기계화로 일반 벼농사 대비 두 배 이상의 농가소득을 올리는 가시적인 성과에 이어 6차산업 융·복합 고도화 전략으로 소득 증대 효과를 본격적으로 실현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경주시 천북면 성지리에 위치한 경주 식량작물 특구가 있다. 이곳은 콩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6차산업을 접목해 지난 6월 우리 농산물 새참 전문식당인 들녘한끼 1호점을 열어 6차산업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들녘한끼식당은 공동영농을 하는 110ha의 넓은 들녘에서 직접 생산한 우리밀과 콩을 활용해 관광객들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새참메뉴를 개발했다.

 

그중에서 고소한 콩국수와 새콤한 냉면은 어느 한 가지 선택하기 힘든 여름철 별미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특히 순두부짬뽕()은 꼭 먹어봐야 할 지역 대표 시그니처메뉴로 자리 잡으면서 이곳을 성지콩밭 맛집이자 우리 농산물의 성지(聖地)로 만들고 있다.

 

농번기에는 들녘으로 직접 새참을 배달하고, 지역 관광지나 펜션 등과 연계한 가족 단위 코스요리를 제공하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도 선보여 현재 하루 평균 200여 명이 찾을 정도로 성황리에 운영 중이며, 개점 2개월 만에 9천만원의 매출을 기록해 연간 54천만원 이상의 수익이 기대된다.

 

특히, 요리에 사용되는 쌀, 고추, 가지, 양파 등 모든 농산물은 지역에서 생산하는 신선한 재료를 사용해 식당 방문객과 관광객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고 지역 농업인과 상생하며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식당 외에도 특구에서 직접 가공해 판매하는 즉석두부와 콩물 역시 한 번 찾은 고객은 마니아가 될 정도로 재구매율이 높아 연매출 3억 원 이상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소비층이 더욱 두꺼워져 소득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11월에는 농촌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으로 경주를 찾은 관광객이 생산에서부터 가공, 체험, 요리까지 한자리에서 맛보고 즐길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6차산업의 새로운 모델로 성장하고 있다.

 

경주 특구의 성공비결은 대형농기계와 드론 등 전문자격증을 보유한 청년농업인이 주축이 되어 파종부터 수확까지 전문적인 영농대행과 6차산업을 전담하고 법인이 생산물 수매와 유통·판매를 책임지는 체계적인 영농협업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했기 때문이다.

 

경주 식량작물 특구를 운영하는 광원영농조합법인 최동식 대표는 조용하던 시골마을에 청년이 돌아와 활력이 넘치고 관광객 유입으로 소득이 높아지고 있다대한민국 대표 농업대전환의 모델이되는 들녁특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들녘특구의 또 다른 모델인 구미 특구는 우리밀을 전문적으로 가공해 신제품 구미밀가리를 출시했고 포항 특구는 체험전용 딸기 하우스와 동화나라체험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울진 특구는 두유 전문가공업체인 다원과 검정콩 계약재배를 통해 6차산업 소득 창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특구별 6차산업 고도화 운영모델의 성공 사례가 알려지면서 타 지자체의 현장 견학과 운영 노하우 전수 등 벤치마킹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조영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민선 8기 도지사 핵심공약으로 추진한 들녘특구 사업이 농업대전환의 목표 농가소득 두배 달성을 넘어 농산업으로의 전환을 이루고 있다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농업 혁신의 표준 모델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전재영 기자   dailyplaza@naver.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광고문의 기사제보 독자투고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청소년 보호정책 저작권 보호정책

법인명 : 주식회사 데일리광장 | 대표자 : 나종운 | 발행인/편집인 : 나종운 | 사업자등록번호 : 480-86-03304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경북, 아00826
등록일 : 2025년 3월 18일 | 발행일 : 2025년 3월 18일 | TEL: (054)256-0045 | FAX: (054)256-0045 | 본사 : 경북 포항시 남구 송림로4

Copyright © 데일리광장. All rights reserved.